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교황 레오 14세, “평화의 아레나”를 탄생시킨 운동 및 단체들 (Friday, 30 May 2025)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여러분에게 평화가 함께하기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1년 전 교황 프란치스코 성하와 함께 베로나에서 대규모 모임인 “평화의 아레나(Arena di Pace)”를 개최했던 운동 및 단체 회원 여러분을 환영하게 되어 기쁩니다. 특별히 베로나 교구장 도메니코 폼필리(Domenico Pompili) 주교님과 콤보니 선교회(Padri Comboniani) 신부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그 자리에서 교황 성하는 평화 건설은 희생자들의 편에 서서 그들의 관점을 공유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마음과 시선, 정신의 무장을 해제하고 살인을 자행하며 폐기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의 불의를 폭로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하마스에 의해 부모를 잃은 이스라엘인 마오즈 이논(Maoz Inon)과 이스라엘 군대에 의해 형제를 잃은 팔레스타인인 아지즈 사라(Aziz Sarah)가 용기 있게 포옹했던 일을 잊을 수 없습니다. 그들은 이제 친구이자 협력자가 되었습니다. 그들의 행동은 증언이자 희망의 표지로 남아 있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기꺼이 참석해 주신 그들에게 감사드립니다.

평화로 나아가는 길은 타인에 대한 관심으로 훈련되고 형성된 마음과 정신을 요구하며, 오늘날의 맥락에서 공동선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평화로 이끄는 길은 공동체적이며, 모든 생명체 간의 정의로운 관계를 돌보는 것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성 요한 바오로 2세(San Giovanni Paolo II) 교황님께서 말씀하셨듯이, 평화는 나눌 수 없는 선(善)입니다. 평화는 모든 사람의 것이거나 그 누구의 것도 아닙니다(「사회적 관심」[Sollicitudo rei socialis] 회칙, 26항 참조). 삶의 질이자 온전한 발전으로서 평화는 의식 속에 “공동선을 위해 헌신하려는 확고하고 끈기 있는 결단”이 활성화될 때에만 진정으로 얻고 누릴 수 있습니다(같은 회칙, 38항).

빠르고 즉각적인 시대인 지금,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데 필요한 긴 시간을 되찾아야 합니다. 역사, 경험, 우리가 알고 있는 수많은 좋은 관행들은 진정한 평화가 현실(지역, 공동체, 지방 기관 등)로부터 시작되고 현실에 귀 기울일 때 형성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해 주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평화는 차이점과 그에 수반되는 갈등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인식되고 받아들여지며 극복될 때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아래에서부터” 모든 사람과 대화하며 평화 문화에서 비롯되는 창의성과 독창성으로 사람들과 공동선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젝트와 행동을 추진하는 여러분의 민중 운동과 단체들의 노력은 특히 소중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러분은 희망을 만들어냅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세상에는 너무 많은 폭력이, 우리 사회에는 너무 많은 폭력이 존재합니다. 전쟁, 테러, 인신매매, 만연한 공격성에 직면하여 소년들과 젊은이들은 생명과 대화, 상호 존중의 문화를 교육하는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들은 비폭력적인 다른 삶의 방식에 대한 증인들을 필요로 합니다. 그러므로 지역적이고 일상적인 수준에서부터 세계 질서에 이르기까지, 불의를 당하고 폭력의 희생자가 된 이들이 복수의 유혹에 저항할 줄 알 때, 그들은 평화 건설의 비폭력적 과정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주역이 됩니다. 방법이자 스타일로서 비폭력은 우리의 결정, 우리의 관계, 우리의 행동을 특징지어야 합니다.

복음과 가톨릭 사회 교리(Dottrina Sociale)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이러한 헌신의 끊임없는 자양분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모든 사람에게 유효한 나침반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는 신앙인과 비신앙인 모두에게 맡겨진 과제이며,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선에 영감을 받은 성찰과 실천을 통해 이를 개발하고 실현해야 합니다.

평화를 원한다면, 평화의 제도들을 준비하십시오. 우리는 단순히 정치적이거나 국가적, 국제적인 제도들만이 아니라 교육, 경제, 사회 등 모든 제도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점점 더 깨닫고 있습니다. 회칙 「모든 형제들」(Fratelli tutti)에서는 “우리”라는 공동체를 건설할 필요성이 여러 번 언급되는데, 이는 제도적 차원에서도 구현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여러분에게 참여하고 존재할 것을 권고합니다. 역사의 반죽 속에 일치의 누룩, 친교의 누룩, 형제애의 누룩으로서 존재하십시오. 형제애는 “성령을 통하여 우리 마음에 부어 주신 하느님의 사랑” (로마 5,5) 덕분에 가능하다는 확고한 희망 속에서 발견되고, 사랑받고, 경험되고, 선포되고 증거되어야 합니다.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을 위해 기도합니다. 인내심과 끈기로 일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제 축복이 여러분과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축복]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축하드립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자로서 우리는 사제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었고, 그들의 실수와 그들에 대한 비난에 몰두하기가 더 쉽습니다.

폴란드, 베타니아 가족 수녀회: 사제들을 위한 기도 SOS 26년 동안 수천 명의 평신도와 사제들이 사제들을 위한 기도 안에서 하나가 되는 운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사제들을 위한 베타니아 선교회"로, 사제들의 직무 수행에 있어 영적 돌봄과 동반을 위한 다양한 형태를 제공합니다. 베타니아 가족 수녀회의 다리아 티보르스카 수녀는 바티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신자로서 우리는 사제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었고, 그들의 실수와 그들에 대한 비난에 몰두하기가 더 쉽습니다" 라고 설명했습니다. 카롤 다르모로스( Karol Darmoros)  – 바티칸 시국 사제들을 위한 베타니아 선교회는 가브리엘라 바시스타 수녀의 주도로 1999년 2월 4일 폴란드에서 설립되었으며, 사제들의 기쁨과 걱정을 들으며 기도로 응답했습니다. 사제들을 위한 첫 번째 성체 조배 (Adorazione del Santissimo Sacramento)는 특정 사제를 위해 평생 기도하기로 약속한 여덟 명의 공동체를 탄생시켰습니다. 오늘날 이 선교회는 8,8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창립자이자 하느님의 종인 폴란드인 유제프 마우이시아크 신부님으로부터 사제적 카리스마 (carisma)를 이어받은 베타니아 가족 수녀회에서 이끌고 있습니다. 다리아 티보르스카 수녀는 "베타니아 수녀들의 카리스마 (carisma)는 기도와 사목 활동 지원을 통해 사제들을 돕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합니다. 교회에 대한 책임 베타니아 선교회는 교회에 대한 책임감에 대한 접근 방식의 변화 필요성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수녀는 "우리는 교회가 사제와 성직자의 영역이며, 평신도들은 덜 참여한다는 사실에 익숙해져 있었습니다. 다행히도 이러한 생각은 우리의 기도 안에서 그리고 기도를 통해 변화하고 있습니다" 라고 언급했습니다. 사제들을 위한 베타니아 선교회는 이로써 신자들이 사제들을 그들의 성덕과 성소 (vocazione) 안에서 지...

교황 레오 14세, 수요 일반 알현 (2025년 5월 28일 수요일)

우리 희망이신 예수 그리스도.  II. 예수님의 생애. 비유들  7. “우리 희망이신 예수 그리스도. 착한 사마리아 사람. 그를 보고 가엾은 마음이 들었다” (루카 10,33ㄴ)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관점을 바꾸고 희망에 열려 있도록 이끄는 복음의 몇몇 비유를 계속해서 묵상합니다. 때때로 희망이 부족한 것은 우리가 사물을 보는 어떤  경직되고 닫힌 방식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비유는 우리가 다른 관점에서 사물을 보도록 돕습니다. 오늘 저는 여러분에게 박식하고 준비된 사람, 곧  율법 교사 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그는 관점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자기 자신에게만 집중하여 다른 사람들을 알아채지 못하기 때문입니다(루카 10,25-37 참조). 사실 그는 영원한 생명을 어떻게 “상속받는지(eredita)”에 대해 예수님께 묻는데, 이는 영원한 생명을 분명한 권리로 이해하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질문 뒤에는 어쩌면  관심에 대한 필요 가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가 예수님께 설명을 요구하는 유일한 단어는 문자적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는 “이웃(prossimo)”이라는 용어입니다. 이 때문에 예수님께서는 그 질문을 변화시키기 위한 여정이 되는 비유를 말씀하시며, ‘누가 나를 사랑하는가?’라는 질문에서 ‘누가 사랑을 베풀었는가?’로 옮겨가게 하십니다. 첫 번째는 미성숙한 질문이고, 두 번째는 자신의 삶의 의미를 이해한 성숙한 사람의 질문입니다. 첫 번째 질문은 우리가 한구석에 앉아 기다릴 때 하는 질문이고, 두 번째는 우리를  길을 나서게  하는 질문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비유는 실제로  길 을 배경으로 합니다. 그리고 그 길은 삶처럼  어렵고 험난한 길 입니다. 그것은 산 위에 있는 도시인 예루살렘에서 해수면 아래에 있는 도시인 예리코로 내려가는 한 남자가 지나던 길입니다. 이는 이미 일어날 수 있는 일을 미리 보여주는 이미...

교황 레오 14세, 일반 알현 (2025년 7월 30일 수요일)

2025년 희년. 우리 희망이신 예수 그리스도. II. 예수님의 생애. 치유. 12. 귀먹고 말 못 하는 사람. "저분이 하신 일을 모두 훌륭하다. 귀먹은 이들은 듣게 하시고 말못하는 이들은 말하게 하시는구나."(마르 7,37)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교리 교육으로 우리는 예수님의 공생활 여정을 마무리합니다. 이 여정은 만남과 비유, 그리고 치유로 이루어졌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 또한 치유가 필요합니다. 우리 세상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폭력과 증오의 분위기에 휩싸여 있습니다. 우리는 소셜 미디어 연결의 ‘폭식증’으로 병들어 가는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과도하게 연결되어 있고, 때로는 거짓되거나 왜곡된 이미지의 폭격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수많은 메시지에 압도되어 모순된 감정의 폭풍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모든 것을 끄고 싶다는 소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아무것도 더 이상 듣고 싶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말조차 오해받을 위험이 있고, 우리는 침묵 속에 갇히고 싶은 유혹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무리 가까이 있어도 가장 단순하고 깊은 것들을 더 이상 서로에게 말할 수 없는 불통의 상태 말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저는 오늘 마르코 복음서의 한 구절에 대해 잠시 멈춰 서고 싶습니다. 이 구절은 말하지도 듣지도 못하는 한 사람을 소개합니다(마르 7,31-37 참조). 오늘날 우리에게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이 사람은 아마도 이해받지 못했다고 느껴서 더 이상 말하지 않기로 결심했을 것이고, 들었던 것에 실망하고 상처받아 모든 소리를 끄기로 결정했을 것입니다. 사실, 그는 치유받기 위해 예수님께 가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데려와집니다. 그를 스승님께 데려간 사람들은 그의 고립을 걱정했던 사람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 공동체는 이 사람들 안에서 교회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교회는 모든 사람을 예수님께 데려가 그분의 말씀을 듣게 합니다. 이 사건은 이교도 지역에서 일어났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