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우리는 희망에 헌신하는 희년을 맞아, 희망의 사도이신 복자 율리우 호수 추기경님을 기념하기 위해 시스티나 성당에 모였습니다. 그분은 루마니아 공산주의 박해 기간 동안 신앙의 목자이자 순교자였던 클루지-게를라(Cluj-Gherla)의 그리스 가톨릭 주교였습니다. 1969년 4월 28일 성 바오로 6세 교황께서 그분을 in pectore 추기경 - [in pectore](in pectore): 라틴어로 '마음속에'라는 뜻이며, 교황이 추기경을 임명하면서 그 이름을 즉시 공표하지 않고 마음속에 유보해 두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정치적 또는 종교적 이유로 공표가 적절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으로 서임하셨을 때, 그분은 로마 교회에 충실하다는 이유로 감옥에 있었습니다. 오늘 그분은 어떤 의미에서 이 시스티나 성당으로 들어오십니다.
이 자리에 함께하신 모든 분들께 기쁜 마음으로 인사드립니다.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대표단, 당국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특별히 루마니아 유대인 공동체 연맹 회장이신 실비우 벡슬러(Silviu Vexler) 의원님께 인사드립니다.
현재 진행 중인 이 특별한 해는 민족적, 종교적 경계를 초월한 형제애의 상징인 율리우 호수 추기경님께 헌정되었습니다. 2022년에 시작된 그분의 '의로운 이방인'(Giusto tra le Nazioni) 인정 절차는 1940년부터 1944년 사이에 나치들이 유대인들을 강제수용소로 강제 이송하는 비극적인 계획을 실행했을 때, 북부 트란실바니아의 유대인들을 지지하고 구하기 위한 그분의 용감한 노력에 근거합니다.
복자 호수 추기경님은 자신과 그리스 가톨릭 교회에 엄청난 위험을 무릅쓰고 유대인들의 강제 이송을 막기 위해 수많은 조치를 취했습니다. 1944년 봄, 클루지-나포카(Cluj-Napoca, 헝가리어로 Kolozsvár)와 트란실바니아의 다른 도시들에서 유대인들을 위한 게토( 준비될 때, 그분은 그리스 가톨릭 성직자(聖職者)들과 신자(信者)들을 동원하여 1944년 4월 2일에 목회 서한(Lettera pastorale)을 발표했습니다. 우리는 이 서한을 전 클루지-나포카 유대인 공동체의 수석 랍비(Rabbino capo)였던 모셰 카르밀리-바인베르거(Moshe Carmilly-Weinberger)를 통해 증언받았습니다. 이 서한에서 그분은 다음과 같은 생생하고 깊이 인간적인 호소를 했습니다. “우리의 호소는,” 그분은 썼습니다. “여러분 모두, 존경하는 형제들과 사랑하는 아들딸 여러분에게 향합니다. 여러분이 유대인들을 생각뿐만 아니라 여러분의 희생으로도 도우라는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불타는 인간적인 사랑에서 비롯된 이 그리스도인과 루마니아인의 도움보다 더 고귀한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아십시오. 현 시점에서 가장 우선적인 관심사는 이 구호(救護) 활동이어야 합니다.” 같은 전 수석 랍비의 증언에 따르면, 호수 추기경님은 1940-1944년 동안 북부 트란실바니아의 수천 명의 유대인들을 죽음에서 구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위대한 목자의 희망은 하느님의 사업에 대항하여 악의 문들이 결코 이기지 못하리라는 것을 아는 충실한 사람의 희망이었습니다.
그분의 삶은 기도와 이웃을 향한 헌신 속에서 끝까지 살아낸 신앙의 증거였습니다. 그분은 대화의 사람이자 희망의 예언자였으며,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2019년 6월 2일 블라지(Blaj)에서 그분을 복자품에 올렸습니다. 그 자리에서 교황님은 강론(Homilia)에서 그분의 삶을 요약하는 한 문구를 인용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이 고통의 어둠 속으로 보내시어 용서를 베풀고 모든 이의 회심을 위해 기도하게 하셨습니다.”
이 말씀들은 순교자들의 정신의 본질을 표현합니다. 즉, 흔들리지 않는 하느님에 대한 신앙, 증오가 아닌 자비로 고통을 박해자들에 대한 사랑으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이 말씀들은 오늘날에도 증오를 용서로 극복하고 존엄과 용기로 신앙을 살아가라는 예언적인 초대로 남아 있습니다.
홀로코스트의 비극으로 정점에 달했던 유대 민족의 고통에 가까이 있었던 교회는 고통, 소외, 박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바로 그렇기에 교회는 인간 존엄성에 대한 존중을 양심의 요구 사항으로 삼아 사회를 건설하는 데 헌신해야 함을 느낍니다.
호수 추기경님의 메시지는 그 어느 때보다 시의적절합니다. 루마니아 유대인들을 위해 그분이 하셨던 일, 즉 모든 위험과 위험에도 불구하고 이웃을 보호하기 위해 취했던 행동들은 그분을 자유롭고 용기 있으며 궁극적인 희생에 이르기까지 관대한 사람의 모범으로 보여줍니다. 그렇기에 그분의 좌우명인 “우리의 신앙이 우리의 삶이다”는 우리 각자의 좌우명이 되어야 합니다. 저는 그분의 모범이, 곧 다가올 제2차 바티칸 공의회(Concilio Ecumenico Vaticano II)의 **「비그리스도교 선언」(Nostra aetate)**에 표현된 내용을 예견했던 그분의 모범과 여러분의 우정이 오늘날 세상의 빛이 되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폭력에, 모든 폭력에, 특히 어린이와 가족과 같은 무방비 상태의 약한 사람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에 “아니요”라고 말합시다!
하느님께서 여러분 각자와 여러분의 사랑하는 이들을 축복하시기를!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