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예수님의 생애. 치유. 10. 중풍병자의 치유.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계속해서 병자들을 치유하시는 예수님을 묵상합니다. 특별히 오늘은 우리가 '움직이지 못하고(bloccati)' 막다른 길에 갇혀 있다고 느끼는 상황들을 생각해 보도록 여러분을 초대하고 싶습니다. 때로는 계속 희망하는 것이 소용없다고 느껴질 때도 있습니다. 우리는 체념하고 더 이상 싸울 의지를 잃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복음서에서 마비(paralysis)라는 이미지로 묘사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는 오늘 요한 복음 5장(5,1-9)에 나오는 중풍병자의 치유에 대해 멈춰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유다인들의 축제를 위해 예루살렘으로 가십니다. 그분은 곧바로 성전으로 가지 않으시고, 문(porta) 옆에 머무르시는데, 그곳은 아마도 희생 제물로 바쳐질 양들을 씻기던 곳이었을 것입니다. 이 문 근처에는 많은 병자들도 머물러 있었는데, 그들은 양들과는 달리 부정하다고 여겨져 성전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그때 예수님께서 친히 그들의 고통 속으로 찾아가십니다. 이 사람들은 자신들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기적을 바라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문 옆에는 연못이 있었는데, 그 물은 기적을 행하는(taumaturgiche), 즉 치유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특정 순간에 물이 움직이면, 당시의 믿음에 따르면, 가장 먼저 물에 들어가는 사람이 치유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일종의 "가난한 이들 간의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연못에 들어가기 위해 힘겹게 몸을 이끌고 가는 병자들의 슬픈 장면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그 연못의 이름은 벳자타(Betzatà)였는데, 이는 "자비의 집(casa della misericordia)"을 의미합니다. 이는 교회의 모습일 수 있습니다. 병자들과 가난한 이들이 모이고, 주님께서 치유하고 희망을 주러 오시는 곳 말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무려 서른여덟 해 동안 중풍병을 앓아온 한 사람에게 특별히 다가가십니다. 그는 이제 체념한 상태입니다. 물이 움직일 때마다 연못에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요한 5,7 참조). 사실, 우리를 마비시키는 것은 종종 바로 실망(delusione)입니다. 우리는 낙담하고 무기력(accidia)에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중풍병자에게 불필요해 보이는 질문을 던지십니다. "낫고 싶으냐?"(요한 5,6). 그러나 이 질문은 필수적인데, 왜냐하면 오랫동안 갇혀 있으면 치유되고자 하는 의지마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병든 상태로 남아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돌보도록 강요하는 것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이는 또한 우리 삶을 어떻게 할지 결정하지 않기 위한 구실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이 사람을 그의 가장 진실하고 깊은 열망으로 다시 이끄십니다.
실제로 이 사람은 예수님의 질문에 좀 더 자세하게 답하며 자신의 인생관을 드러냅니다. 그는 우선 자신을 연못에 넣어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잘못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자신을 돌보지 않는 다른 사람들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태도는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구실이 됩니다. 그러나 그에게 정말 아무도 도와줄 사람이 없었을까요? 성 아우구스티노의 통찰력 있는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치유되기 위해서는 분명히 한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그 사람은 하느님 또한 되시는 분이었습니다. [...] 그러므로 필요한 사람이 오셨으니, 왜 치유를 더 이상 미루겠습니까?"
중풍병자는 또 자신이 연못에 들어가려고 할 때마다 항상 다른 사람이 먼저 들어간다고 덧붙입니다. 이 사람은 삶에 대한 숙명론적(fatalistica)인 관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일들이 우리에게 일어나는 것이 우리가 운이 없기 때문이거나 운명이 우리에게 불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사람은 낙담해 있습니다. 그는 삶의 투쟁에서 패배했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가 자신의 삶이 또한 자신의 손에 달려 있음을 깨닫도록 도와주십니다. 그분은 그에게 일어나서, 그의 만성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그의 들것을 들고 가라고 초대하십니다(요한 5,8 참조). 그 들것은 버려지거나 내던져져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그의 병들었던 과거, 그의 역사(storia)를 나타냅니다. 그때까지 과거는 그를 얽매었고, 죽은 사람처럼 누워 있게 했습니다. 이제 그가 그 들것을 들고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역사를 어떻게 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떤 길을 걸을지 선택하는 책임을 지고 걷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예수님 덕분입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주님께 우리의 삶이 어디에서 멈춰 있는지 이해하는 은총을 간청합시다. 치유되고자 하는 우리의 열망을 소리 내어 표현해 봅시다. 그리고 마비된 것처럼 느껴지고 출구를 찾지 못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기도합시다. 자비의 진정한 집이신 그리스도의 성심 안에 다시 거하도록 청합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