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레오 14세 성하의 강론
인플루언서와 디지털 선교사들에게
성 베드로 대성전
2025년 7월 29일 화요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여러분에게 평화가 있기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이 인사말, 즉 여러분에게 평화가 있기를! 이라는 말로 강론을 시작했습니다. 이 인사말은 적대감과 전쟁으로 얼룩진 우리 시대에 우리가 얼마나 평화를 필요로 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또한 부활하신 분의 인사말인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요한 20,19)은 오늘날 우리에게 증언하라고 얼마나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습니까! 우리 모두에게 평화가 있기를 빕니다. 우리의 마음과 우리의 행동 안에 말입니다.
이것이 교회의 사명입니다. 세상에 평화를 선포하는 것입니다! 죽음을 이기시고, 우리에게 하느님의 용서를 가져다주시고, 우리에게 성부의 생명을 주시고, 우리에게 사랑의 길을 보여주시는 주님으로부터 오는 평화 말입니다!
이것은 교회가 오늘 여러분에게도 맡기는 사명입니다. 여러분은 희망으로 소셜 네트워크와 디지털 환경을 채우려는 노력을 새롭게 하고자 로마에서 열리는 희년에 참석했습니다. 평화는 모든 곳에서, 비극적인 전쟁터에서든, 존재의 의미와 내면의 맛, 영적 삶의 맛을 잃어버린 텅 빈 마음에서든, 추구하고 선포하며 나누어져야 합니다. 그리고 오늘날, 아마도 그 어느 때보다 우리는 부활하신 분의 선물을 세상에 가져다줄 선교하는 제자들을 필요로 합니다. 그들은 예수님께서 주시는 살아있는 희망에 땅끝까지 목소리를 낼 것입니다(사도 1,3-8 참조). 그들은 기다리는 마음, 찾는 마음, 필요한 마음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다다를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희망이 없는 실존적 경계, 곧 땅끝까지 말입니다.
이 사명에는 두 번째 도전이 있습니다. 즉, 온라인에서 만나는 모든 형제자매 안에서 항상 ‘고통받는 그리스도의 살’(soffering flesh of Christ)을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기술에 의해 깊이 특징지어지고 형성된 새로운 문화 속에 있습니다. 이 문화가 인간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우리에게 달려 있습니다. 곧, 여러분 각자에게 달려 있습니다.
과학과 기술은 우리가 세상에서 살아가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방식과 하느님과 관계 맺는 방식, 그리고 서로 관계 맺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인간과 그의 창의성에서 비롯된 어떤 것도 다른 사람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의 사명, 즉 여러분의 사명은 그리스도교 인본주의 (Christian humanism) 문화를 양성하고, 이를 함께 실현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 모두에게 ‘네트워크’(network)의 아름다움입니다.
역사 속 문화적 변화에 직면하여 교회는 결코 수동적으로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교회는 항상 선과 악을 분별하고, 좋은 것과 변화하고 변형되고 정화되어야 할 것을 식별함으로써 그리스도의 빛과 희망으로 모든 시대를 밝히려고 노력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기술적인 차원이 거의 모든 것에 존재하는 문화 속에 있으며, 인공지능의 광범위한 채택이 개인과 사회 전체의 삶에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될 시대에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직면해야 할 도전입니다. 즉, 우리 증언의 진정성, 듣고 말하는 능력, 이해하고 이해받는 능력에 대해 성찰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 시대의 사고방식을 발전시키고 사랑에 목소리를 내는 언어를 함께 개발할 의무가 있습니다.
단순히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넘어, 마음의 만남을 창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고통받는 이들, 주님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이들을 찾아 나서서 그들이 상처를 치유하고 다시 일어서서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돕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이 과정은 우리 자신의 가난을 받아들이고, 모든 가식(pretense)을 버리고, 복음이 필요한 우리 자신의 내재적인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은 공동체적 노력(communal endeavor)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를 세 번째 부르심으로 이끕니다. 그래서 저는 여러분 모두에게 요청합니다. “그물들을 고치러 가십시오”(reparar las redes). 예수님께서는 첫 사도들을 어부의 그물을 고치는 동안 부르셨습니다(마태 4,21-22 참조). 그분은 우리에게도 그것을 요구하시며, 오늘날 다른 그물, 곧 관계의 그물, 사랑의 그물, 무상으로 나누는 그물, 진정하고 깊은 우정이 있는 그물을 만들라고 요청하십니다. 깨진 것을 고치고, 외로움을 치유할 수 있는 그물, 팔로워(follower)의 숫자에 얽매이지 않고 모든 만남에서 사랑의 무한한 위대함을 경험하는 그물 말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은 공간을 허용하고, ‘필터 버블’(burbuja de filtros)이 가장 약한 이들의 목소리를 끄지 못하게 하는 그물 말입니다. 해방시키는 그물, 구원하는 그물. 우리가 서로의 눈을 바라보는 아름다움을 다시 발견하게 하는 그물. 진리의 그물. 이렇게 공유된 모든 선한 이야기는 하나의 거대한 그물, 즉 네트워크의 네트워크(red de redes), 하느님의 그물의 매듭이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분열과 양극화, 개인주의와 자기중심주의의 논리를 깨뜨릴 수 있는 친교의 중개자(agents of communion)가 되십시오.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여 세상의 논리(logic of the world), 곧 가짜 뉴스(fake news)와 경박함의 논리를 진리의 아름다움과 빛으로 이겨내십시오(요한 8,31-32 참조).
이제 여러분에게 강복을 주기에 앞서, 주님께 여러분의 증언을 맡기며, 여러분이 삶에서 행한 모든 선한 일과 앞으로 행할 일, 여러분이 품고 있는 꿈, 주 예수님에 대한 여러분의 사랑, 교회에 대한 여러분의 사랑, 고통받는 이들을 돕는 여러분의 노력, 그리고 디지털 길을 걷는 여러분의 여정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