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교황 레오 14세, 삼종 기도 (2025년 7월 6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좋은 주일입니다!

오늘 복음(루카 10,1-12.17-20)은 우리 모두가 각자의 소명에 따라, 그리고 주님께서 우리를 두신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부르심을 받은 사명(missione)의 중요성을 일깨워 줍니다.

예수님께서는 일흔두 명의 제자들을 파견하십니다(1절). 이 상징적인 숫자는 복음의 희망이 모든 민족을 위한 것임을 보여줍니다. 이것이야말로 하느님 마음의 넓이이며, 그분의 풍성한 수확(messe)입니다. 다시 말해, 그분께서 세상에서 행하시는 일은 모든 자녀가 그분의 사랑에 도달하고 구원(salvezza)받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동시에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그러니 수확할 밭의 주인에게 일꾼들을 보내 달라고 청하여라!”(2절).

한 면에서 하느님께서는 씨 뿌리는 분처럼 관대하게 세상에 씨를 뿌리러 나오셨고, 인간의 마음과 역사 속에 무한함에 대한 갈망, 충만한 삶에 대한 갈망, 자신을 자유롭게 할 구원에 대한 갈망을 심어 놓으셨습니다. 그러므로 수확할 것이 많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씨앗처럼 땅에서 싹트고, 오늘날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다른 많은 것에 휩쓸려 있는 것처럼 보일 때에도 더 큰 진리를 기다리고 있으며, 자신들의 삶에서 더 충만한 의미를 찾고 있고, 정의를 갈망하며, 영원한 생명에 대한 열망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주님께서 씨 뿌리신 밭에서 일하러 나가는 일꾼들은 적으며, 그 이전에 예수님의 눈으로 보기에 수확할 준비가 된 좋은 곡식을 식별할 수 있는 사람들도 적습니다(요한 4,35-38 참조). 주님께서 우리 삶과 인류 역사에서 행하시려는 위대한 일이 있지만, 그것을 깨닫고, 멈춰 서서 선물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선포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가져다주는 사람은 적습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교회와 세상은 겉으로 드러나는 믿음(fede)을 보여주며 종교적 의무를 이행하는 사람들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명(missione)의 밭에서 일하고자 하는 열망을 가진 일꾼들, 어디에서든 하느님 나라를 증언하는 사랑에 빠진 제자들을 필요로 합니다

어쩌면 이따금 좋은 종교적 감정을 느끼거나 몇몇 행사에 참여하는 ‘상황에 따라 그때 그때인 그리스도인(cristiani delle occasioni)’들이 적지 않을 것(많습니다.)입니다. 그러나 매일 하느님의 밭에서 일하고, 자기 마음속에 복음의 씨앗을 가꾸어 그것을 일상생활, 가정, 직장과 학업 장소, 다양한 사회 환경, 그리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가져다줄 준비가 된 사람은 적습니다.

이것을 위해 사목적 관점에 대한 너무 많은 이론적 아이디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수확할 밭의 주인에게 기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즉, 가장 먼저 주님과의 관계, 그분과의 대화(dialogo)를 가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그분께서 우리를 당신의 일꾼으로 만드시고, 당신 나라의 증인으로서 세상의 밭으로 파견하실 것입니다.

자신을 아낌없이 내어주며 구원 사업에 참여하신 동정 마리아께 우리를 위해 전구해 주시고, 우리가 주님을 따르는 길을 동반해 주시어, 우리 또한 하느님 나라의 기쁨에 찬 일꾼이 될 수 있도록 간청합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자로서 우리는 사제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었고, 그들의 실수와 그들에 대한 비난에 몰두하기가 더 쉽습니다.

폴란드, 베타니아 가족 수녀회: 사제들을 위한 기도 SOS 26년 동안 수천 명의 평신도와 사제들이 사제들을 위한 기도 안에서 하나가 되는 운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사제들을 위한 베타니아 선교회"로, 사제들의 직무 수행에 있어 영적 돌봄과 동반을 위한 다양한 형태를 제공합니다. 베타니아 가족 수녀회의 다리아 티보르스카 수녀는 바티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신자로서 우리는 사제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었고, 그들의 실수와 그들에 대한 비난에 몰두하기가 더 쉽습니다" 라고 설명했습니다. 카롤 다르모로스( Karol Darmoros)  – 바티칸 시국 사제들을 위한 베타니아 선교회는 가브리엘라 바시스타 수녀의 주도로 1999년 2월 4일 폴란드에서 설립되었으며, 사제들의 기쁨과 걱정을 들으며 기도로 응답했습니다. 사제들을 위한 첫 번째 성체 조배 (Adorazione del Santissimo Sacramento)는 특정 사제를 위해 평생 기도하기로 약속한 여덟 명의 공동체를 탄생시켰습니다. 오늘날 이 선교회는 8,8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창립자이자 하느님의 종인 폴란드인 유제프 마우이시아크 신부님으로부터 사제적 카리스마 (carisma)를 이어받은 베타니아 가족 수녀회에서 이끌고 있습니다. 다리아 티보르스카 수녀는 "베타니아 수녀들의 카리스마 (carisma)는 기도와 사목 활동 지원을 통해 사제들을 돕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합니다. 교회에 대한 책임 베타니아 선교회는 교회에 대한 책임감에 대한 접근 방식의 변화 필요성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수녀는 "우리는 교회가 사제와 성직자의 영역이며, 평신도들은 덜 참여한다는 사실에 익숙해져 있었습니다. 다행히도 이러한 생각은 우리의 기도 안에서 그리고 기도를 통해 변화하고 있습니다" 라고 언급했습니다. 사제들을 위한 베타니아 선교회는 이로써 신자들이 사제들을 그들의 성덕과 성소 (vocazione) 안에서 지...

교황 레오 14세, 수요 일반 알현 (2025년 5월 28일 수요일)

우리 희망이신 예수 그리스도.  II. 예수님의 생애. 비유들  7. “우리 희망이신 예수 그리스도. 착한 사마리아 사람. 그를 보고 가엾은 마음이 들었다” (루카 10,33ㄴ)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관점을 바꾸고 희망에 열려 있도록 이끄는 복음의 몇몇 비유를 계속해서 묵상합니다. 때때로 희망이 부족한 것은 우리가 사물을 보는 어떤  경직되고 닫힌 방식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비유는 우리가 다른 관점에서 사물을 보도록 돕습니다. 오늘 저는 여러분에게 박식하고 준비된 사람, 곧  율법 교사 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그는 관점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자기 자신에게만 집중하여 다른 사람들을 알아채지 못하기 때문입니다(루카 10,25-37 참조). 사실 그는 영원한 생명을 어떻게 “상속받는지(eredita)”에 대해 예수님께 묻는데, 이는 영원한 생명을 분명한 권리로 이해하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질문 뒤에는 어쩌면  관심에 대한 필요 가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가 예수님께 설명을 요구하는 유일한 단어는 문자적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는 “이웃(prossimo)”이라는 용어입니다. 이 때문에 예수님께서는 그 질문을 변화시키기 위한 여정이 되는 비유를 말씀하시며, ‘누가 나를 사랑하는가?’라는 질문에서 ‘누가 사랑을 베풀었는가?’로 옮겨가게 하십니다. 첫 번째는 미성숙한 질문이고, 두 번째는 자신의 삶의 의미를 이해한 성숙한 사람의 질문입니다. 첫 번째 질문은 우리가 한구석에 앉아 기다릴 때 하는 질문이고, 두 번째는 우리를  길을 나서게  하는 질문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비유는 실제로  길 을 배경으로 합니다. 그리고 그 길은 삶처럼  어렵고 험난한 길 입니다. 그것은 산 위에 있는 도시인 예루살렘에서 해수면 아래에 있는 도시인 예리코로 내려가는 한 남자가 지나던 길입니다. 이는 이미 일어날 수 있는 일을 미리 보여주는 이미...

교황 레오 14세, 일반 알현 (2025년 7월 30일 수요일)

2025년 희년. 우리 희망이신 예수 그리스도. II. 예수님의 생애. 치유. 12. 귀먹고 말 못 하는 사람. "저분이 하신 일을 모두 훌륭하다. 귀먹은 이들은 듣게 하시고 말못하는 이들은 말하게 하시는구나."(마르 7,37)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교리 교육으로 우리는 예수님의 공생활 여정을 마무리합니다. 이 여정은 만남과 비유, 그리고 치유로 이루어졌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 또한 치유가 필요합니다. 우리 세상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폭력과 증오의 분위기에 휩싸여 있습니다. 우리는 소셜 미디어 연결의 ‘폭식증’으로 병들어 가는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과도하게 연결되어 있고, 때로는 거짓되거나 왜곡된 이미지의 폭격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수많은 메시지에 압도되어 모순된 감정의 폭풍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모든 것을 끄고 싶다는 소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아무것도 더 이상 듣고 싶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말조차 오해받을 위험이 있고, 우리는 침묵 속에 갇히고 싶은 유혹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무리 가까이 있어도 가장 단순하고 깊은 것들을 더 이상 서로에게 말할 수 없는 불통의 상태 말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저는 오늘 마르코 복음서의 한 구절에 대해 잠시 멈춰 서고 싶습니다. 이 구절은 말하지도 듣지도 못하는 한 사람을 소개합니다(마르 7,31-37 참조). 오늘날 우리에게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이 사람은 아마도 이해받지 못했다고 느껴서 더 이상 말하지 않기로 결심했을 것이고, 들었던 것에 실망하고 상처받아 모든 소리를 끄기로 결정했을 것입니다. 사실, 그는 치유받기 위해 예수님께 가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데려와집니다. 그를 스승님께 데려간 사람들은 그의 고립을 걱정했던 사람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 공동체는 이 사람들 안에서 교회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교회는 모든 사람을 예수님께 데려가 그분의 말씀을 듣게 합니다. 이 사건은 이교도 지역에서 일어났으므로...